Building Grit

그릿을 키우는 법

Grit is defined as courage and resolve in the face of challenge. It is the ability to overcome set backs, set forth goals, and achieve them.

Sometimes it feels as if some people have it, and some don’t. But I think, like most things, Grit can be developed over time. Even that word Grit has a coarseness to it that comes from being tested, tossed around, but not broken.

How does one develop grit?

Life offers many opportunities for grit to be developed. When those challenges arise, you can practice grit by saying,

“What can I do now? How can I overcome?”

Ultimately, it’s not just the question or the response but the actual belief and action that leads one to overcome. And in doing so, develop grit.

A personal example

On X-mas Eve 2020, I completely tore my achilles tendon. After receiving the diagnosis, I let myself acknowledge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feel down for a moment, and sat down and asked myself,

“what am I going to do to make this better?” “what can I still do?”

After my surgery, I set 3 month goals : walk for 3 miles, do 20 consecutive pull-ups, 70 consecutive pushups. Even if I couldn’t walk at first, I could still get around with crutches, progressed to walking in the pool, and I could still do pull-ups and pushups without walking.

Although I didn’t meet the lofty goals I set for myself, 6 months later I completed my first hike since my surgery. My belief in myself, creativity, and desire to overcome kept me focus on my physical recovery. I also got help from friends and family who got me through with their support and company.

It wasn’t easy. In fact, there were times I felt down and discouraged during the process and experienced grief after my surgery. It’s not “man up” and ignore your feelings or the difficult reality, but to acknowledge all of it and do the hard thing anyway.

The challenge is to allow yourself to feel all of it, pick yourself back up, and keep going. That is real grit.

그릿(Grit)어려움 속에서도 용기와 결단력을 잃지 않는 힘을 말합니다. 좌절을 극복하고 목표를 세우며 이를 달성해 나가는 능력이죠.

때로는 어떤 사람들은 타고난 것처럼 보이지만, 저는 그릿도 대부분의 것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길러질 수 있는 성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어 자체에서도 느껴지는 거칠고 투박한 느낌은, 시련 속에서 단련되고 흔들렸지만 결국 부서지지 않은 존재를 떠올리게 합니다.

그릿은 어떻게 길러질까요?

인생은 우리에게 수많은 도전과 시련을 줍니다. 그런 순간들이 올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이 질문하며 그릿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어떻게 이 상황을 이겨낼 수 있을까?”

중요한 것은 질문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질문을 바탕으로 믿고 행동하는 것입니다. 결국, 믿음과 행동이 우리를 극복의 길로 이끕니다. 그리고 그렇게 하면서 그릿이 길러집니다.

개인적인 경험 하나를 나누자면…

2020년 크리스마스 이브, 저는 아킬레스건이 완전히 파열되는 큰 부상을 입었습니다. 진단을 받고 나서, 저는 현실을 받아들이고 잠시 침체된 기분을 느꼈습니다. 그러고는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었죠.

“지금 이 상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건 뭘까?”
“이걸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뭐지?”

수술 후, 저는 스스로에게 3개월 목표를 세웠습니다:
3마일 걷기, 풀업 20개 연속하기, 푸시업 70개 연속하기.
처음엔 걷지 못했지만, 목발을 이용해 움직였고, 수영장에서는 걷는 연습을 시작했고, 걷지 못해도 팔 운동은 계속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처음에 세운 높은 목표들을 완전히 이루지는 못했지만, 6개월 후 저는 수술 이후 첫 등산을 완주했습니다. 제 자신에 대한 믿음, 창의력, 그리고 회복에 대한 의지가 저를 계속 전진하게 했습니다.
또한 가족과 친구들의 격려와 동행은 제게 큰 힘이 되었어요.

그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때때로 우울감과 낙심이 찾아왔고, 수술 후에는 상실감도 느꼈습니다. 그릿이란 감정을 억누르거나 괜찮은 척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감정과 현실을 정직하게 마주하고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선택을 해나가는 용기입니다.

진짜 도전은, 모든 감정을 느끼는 것을 허용하고, 다시 일어서서 나아가는 것입니다.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그릿입니다.

Translated using ChatGPT. 번역은 ChatGPT를 사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My work

Yoojin Nam LMFT is the author of Thinking to Feel. He has been providing psychotherapy for 7 years and is licensed to practice in CA & TX.

Wondering if therapy might benefit you? E-mail [email protected] to schedule a free consultation.

Disclaimer: These posts are not a replacement for therapy. The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is for educational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therapeutic advice.